ADHD를 가지고 있는 아이들은 대체적으로 산만하고 부주의하며 충동적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이를 모르는 어른들은 아이들의 그런 행동들로 혼을 많이 내게 된다. ADHD를 가지고 있는 아이들에게 혼을 내거나 부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면 오히려 더 역효과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칭찬을 많이 해주어야 하는데 모난 행동들로 그마저도 쉽지 않다는 것을 잘 안다. 그럼 오늘은 저번 ADHD에 관한 글에 이어 ADHD 지도방법 "학교에서 지도 방법, 가정에서 지도 방법!"에 대해 글을 써 보려고 한다. ● ADHD 아동 학교에서 지도 방법 교사는 ADHD학생에게 긍정적인 강화를 해주어야 한다. 강화는 크고 자극적이어야 하고 이런 강화는 ADHD 학생의 과제 수행을 향상한다. 일상적 일과와 구조를 제시해야 한다. 과제분석을..
금쪽같은 내 새끼라는 프로그램이 방영되면서 ADHD를 겪고 있는 아이들의 사례가 많이 나오고 있다. ADHD는 흔히 말 안 듣는 아이, 못된 아이라고 생각이 들만큼 무언가 타협이 어렵고 자기 주관적이며, 자기중심적인 생각을 많이 하고 무엇보다 행동이 먼저 앞서 나가기도 잘못된 부분을 혼내는데 본인의 잘못은 생각하지 못하고 "왜 나를 혼내?!"라고 반응하는 등, 상대방의 이야기가 다 끝나지도 않았는데 먼저 자리를 뜬다거나, 규칙을 잘 지키지 않는다거나 하는 그런 증상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단체생활을 하거나 사회성에 문제를 보이며 더 나아가 그런 행동으로 인한 잦은 꾸지람과 비판으로 아이의 자존감이 낮아지고 심리적으로 미성숙한 단계로 자라나기 때문에 ADHD의 특징을 잘 파악하고 그에 맞게 아이를 양육하는..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