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료 산정기준 및 납부확인서 조회, 발급
- information
- 2022. 10. 13.
알아두면 도움되는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및 납부확인서 조회, 발급 방법
공공기관 업무나 은행 업무를 보다보면 나의 소득 수준을 증명하는 서류를 제출 해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입니다. 이를 발급 받기 위해 직접 가는 게 힘든 경우들이 많으신데 직접 가는 방법을 포함하여 총 4가지 다른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금부터 천천히 저를 따라오시기 바랍니다.
1. 건강보험료란
건강보험료는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과 함께 4대 보험으로 선정되어 있으며 사고나 질병으로 인해 진료비가 너무 많이 청구되게 되면 의료비에 대한 부담이 너무 커져서 병원을 기피하여 국민들의 건강이 저할 될 우려가 있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국민들이 매달 내는 보험료입니다. 매달 사람들이 일정 비용내는 보험료를 국가 기관에서 관리 및 운영하면서 모든 사람들이 공평하게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건강보험은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로 구분되어 있으며 직장가입자는 회사에서 월급을 받는 모든 근로자, 노동자, 공무원 등이 대상이 됩니다. 지역가입자는 이외의 모든 사람들을 말하는 것으로 월급이 아닌 기타 수익이 발생되게 되면 별도의 의료보험을 가입해야 하는데 장사나 사업을 하시는 분들 프리랜서 같은 분들이 여기에 해당이 됩니다.
2. 납부확인서 발급
1) 방문 발급
가장 기본적으로 발급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바로 건강보험공단 지사에 직업 방문을 하거나 고객센털 전화를 하여 발급을 받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사용이 취약한 분들께서는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화로 발급 신청을 할 경우 본인만 가능하며 방문 신청의 경우 본인 뿐만 아니라 대리 신청도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무인 발급기
요즘에는 지하철역이나 주민센터에 가게 되면 무인 발급기가 설치 되어 있습니다. 여기에서도 쉽게 발급이 가능하며 24시간 365일 발급 할 수 있고 수수료는 무료입니다. 무인 발급기계에 적힌 순서대로 진행하시면 되고 납부확인서 외에도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등도 발급이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인터넷 발급
국민건강보험 공단 사이트에 접속한 다음 메인화면에서 보험료 납부확인서를 선택하고 간편인증 혹은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를 사용하여 로그인을 합니다. 발급 용도와 신청 기간, 세부보험 항목을 선택한다음 조회를 누르고 출력이나 전송을 선택하면 됩니다. 조회기간은 최대 2년까지만 가능합니다.
4) 모바일 발급
스마트폰을 이용해서도 받을 수 있는데 국민건강보험공단, 카카오톡, 네이버 어플 등에서 가능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시는 카카오톡으로 말씀드리면 더보기로 가서 지갑을 선택 후 전자증명서를 선택하고 더보기에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를 선택하고 인증 후 신청하기를 누릅니다. 그리고 PDF 로 저장하거나 제출하기로 제출을 바로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를 발급 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은근히 사용되는 곳이 많은 증명서 이기 때문에 간단하게 스마트폰으로 발급 받는 방법을 미리 알아두시면 간편하고 빨리 발급이 가능할 듯 합니다. 제 포스팅이 여러분들에게 유익한 정보로 느껴지길 바래봅니다.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와 함께 하고 싶은 크리스마스 버킷리스트 100가지 (0) | 2022.12.13 |
---|---|
난방비 절약 위한 추운 겨울철 적정한 실내온도 및 습도 유지하는 방법 (0) | 2022.10.16 |
인테리어 바닥 마감재 7가지 종류와 장단점 (0) | 2022.10.12 |
2022년 2023년 2024년 삼재띠는? 들삼재,눌삼재,날삼재 총정리 (0) | 2022.10.09 |
기업형 슈퍼마켓 영업시간 및 휴무일 (feat. GS더프레시, 롯데슈퍼, 홈플러스익스프레스, 이마트 에브리데이) (0) | 2022.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