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혜의 효능 BEST 5 반갑습니다. 김서방입니다. 식혜 다들 좋아하시죠? 찜질방 같은데서 계란이나 고구마를 먹고 나면 또는 뜨거운 방에 들어갔다 나오면 생각나는 것이 바로 식혜 인데요. 식혜는 남자 여자 어른 아이 따지지 않고 두루두루 좋아하는 음식으로 이번 시간에는 이 식혜의 효능들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와이프가 식혜를 좋아하지 않아 즐겨 먹지 않는데 솔직히 식혜를 싫어하는 사람 거의 처음 본 것 같습니다. 이만큼 많은 이들이 즐기고 있는 것이죠. 감주 또는 단술이라고도 불리우는 식혜는 우리 전통 음료 중 하나로 많은 효능들이 있는데 이를 알고 먹는 것이 더욱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주로 식혜라고 하면 하얀 액체에 밥알과 견과류가 동동 떠있는 것을 알고 계신 분들이 많은데 특정 지역에..
뼈골절에좋은음식 BEST 7반갑습니다. 김서방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뼈를 다쳤을 때 어떤 걸 먹으면 더 빨리 붙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팔이나 다리, 손가락 등이 부러졌을 때 아픈 것도 아픈 것이지만 한동안 일상 생활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것과 잘 붙지 않으면 평생 고생한다는 게 걱정거리가 아닐 수 없는데요.나이나 뼈 건강 상태에 따라서 얼마나 빨리 치유 되는지가 판가름나지만 충분한 휴식과 영양 섭취를 제대로 하면 빨리 나을 수가 있습니다.뼈는 칼슘과 인, 미네랄로 구성 되어 있는 콜라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단백질과 이들의 섭취를 늘려주면 콜라겐 생성이 촉진되어 치유 속도가 빨라 질 수 있습니다. 1. 칼슘우유에는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칼슘의 섭취..
빈속에 먹으면 안되는 음식 7가지반갑습니다. 김서방입니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빈속에 특정 음식들을 먹으면 좋지가 않습니다. 과일과 채소와 같은 특정 음식이 우리에게 얼마나 좋은지에 대한 이야기를 듣지만 가끔은 그렇지 않을 때도 있는데요.음식 자체에는 문제가 없지만 먹어도 되는 때가 있습니다. 일부 음식은 빈속에 먹지 않아야 합니다. 그것들은 위가 비었을 때 적합하지 않은 특정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다른 음식을 먹거나 그 음식과 함께 섭취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공복에 먹어서는 안되는 음식 7가지에 대해 알려드릴테니 주의해서 섭취를 해주시기 바라겠습니다.1. 토마토토마토는 산화 방지제, 비타민 및 가용성 성분으로 가득차 있지만 위장에 통증과 산성도 또는 역류를 유발할 수있는 위산과 결합..
한국의 허브라 불리우는 머위 효능 베스트 9반갑습니다. 김서방입니다. 산자락이나 밭둑 주변에서 자생하고 있는 머위 효능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머위는 재배가 가능한 채소는 아니며 한국의 허브라고 불리울 만큼 그 효능이 대단한데 대부분 머위라고 불리지만 지역에 따라 머우 혹은 머구 라고 부르는 곳도 있습니다.재배가 안 되는 것은 아닌데 머위 뿌리에 눈을 붙인 다음 밭에다가 심고 습기를 유지해 보관을 해주면 봄이 되어 꽃망울리 올라오면서 옆이 나기 시작한다고 합니다.머위는 잎과 대를 수확하여 이용을 하는데 잎은 데친 후에 물에 담궈 쓴맛을 없애고 먹으며 대는 나물 무침이나 국의 재료로 많이 사용 한다고 합니다. ● 효능1. 체질 중화 효과요즘 보면 끼니를 떼우는데 어려움이 적..
돼지감자차효능 알아두면 좋은 이유 BEST 7반갑습니다. 김서방입니다. 돼지감자는 외국에서 들여온 식물로 출처는 알 수 없지만 유럽과 중국을 거쳐 들여온 것으로 추정되며 뚱딴지라고도 불리웁니다.이상하고 엉뚱한 소리를 하는 사람에게 뚱딴지 없네 라고 하는데 돼지감자처럼 우둔하게 보인다고 해서 이런 말이 발생했다고 합니다.돼지감자가 뚱딴지로 불리는 또 다른 이유로는 모양이나 크기, 무게 등이 너무나도 제각각이어서 예측 할 수 없는 식물이라고 하여 붙여졌다고도 합니다.우리나라에서는 경기도와 전라북도 일부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생으로 먹을 수도 있고 볶거나 졸여서 먹기도 하며 말린 다음 차로 우려내 마시기도 합니다.돼지감자는 가을에 노란 꽃이 피는데 해바라기처럼 생겨서 관상용으로도 인기가 많으며 뿌리인 감자..
구절초 효능 BEST 7반갑습니다. 김서방입니다. 구절초라고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구절초는 줄기의 마디가 아홉개로 꺽여져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다른 이름으로 선모초 혹은 구일초라고도 불리우며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서식하고 있는 국화과 다년생 초본 식물입니다.식물의 전체 키는 50센티미터 정도이며 꽃은 하얀색과 연한 분홍색으로 피며 9월부터 11월 사이 꽃이 만개한다고 하는데요.국화과에 속해 있는 만큼 좋은 향기가 나서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소화불량이나 월경불순, 위냉 등에 효과적이어서 한약재로도 많이 이용 되고 있습니다.아홉번 꺽여 있다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효능이 대단하며 음력 9월 9일에 그 약효가 가장 좋다는 설도 있으며 꽃말은 우아한 자태, 어머니의 사랑..